01. 자! 인스턴스 2개를 만들어줍니다. 하나는 서버 하나는 유저역할 입니다



02. 서버 접속을 해주시구요




03. 다음과 같은 명령어들을 입력해주세요 

프로그램들을 업데이트하고 테스트를 위한 아파치를 설치합니다 (중요)

1) sudo apt-get update

2)sudo apt-get install apache2-utils

3)ab -n 400 -c 1 http: [여러분의 주소] /


3번 명령어는 접속자가 400명이고 동시접속이 1개라는 상황을 여러분의 주소로 부여해주시는 겁니다 




4. top 이라는 명령어로 현제 프로세스들의 점유율을 살펴볼수 있습니다.



ab 명령어를 하니 겁나 늘어나네요 


결과값들입니다




06. 탄력적 아이피 할당입니다. 

왜 필요하냐? 

AWS는 컴퓨터가 종료되고 다시 실행하면 아이피가 바뀌게 됩니다.

스케일업이나 아웃을 발생시키면 아이피가 바뀌는데 그러면 서비스하기가 힘들겠죠? 그럴땐 고정아이피? 같이 할당받아 

사용합니다.





07. 새주소할당을 해주시구요 

아이피를 부여받습니다




08. 어디 인스턴스에 할당 해주실지 선택해주세요.





09. 자! 제 인스턴스에는 이 아이피가 할당 되었습니다.


참쉽죠??



출처: 생활코딩



동영상보시는게 더 편할 수 있습니다.



이상 따라하는 개발자 캔따개였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s3 콘솔에서 조작하기  (0) 2018.07.04
05 오토스케일링  (0) 2018.07.03
04 AWS (로드밸런서적용)  (0) 2018.07.03
02 AMI 사용해보기  (0) 2018.07.03
01 AWS의 시작  (0) 2018.07.03

01 AMI는 콘솔창에서도 접근할수 있지만 AMI 전용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https://aws.amazon.com/marketplace 여기에요 !!




2. wordpress를 검색해 다운 받습니다 

(생활코딩에서는 이름이 좀 다르더라구요 HVM? 없어서 이걸로 했는데 잘되요 ㅎㅎ 이걸로 하세요 )





03. 주황색버튼 continue to configuration 을 눌러주시구요 




04. 여기서 어떤 프로그램 버전인지 지역은 어디인지 확인해주시고 launch를 눌러주세요 


05.뭐 웹서비스 액션도 있고 다양하게 있지만 저는 뭔지몰라 낯익은 EC2 액션으로 ㅎㅎ 




06. 낯익죠? 그렇습니다 인스터스생성입니다 허나 기존과는 다르게 AMI가 탑재된 채로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07.기존 키를 선택했구요 





08.음 워드프레스 홈페이지가 잘 동작하네요 ㅎㅎ 




09. 접속하는 방법은 저기 4번 및 DNS 연결 주소 보이시죠? 저걸 복붙해주시면 위 홈페이지가 나옵니다.





10.그렇다면 AMI 소스나 뭐 코딩 관리자로 들어가야하는데? 접속은?


저는 xshell로 들어가고 있기에 이걸로 보여드립니다.


이름-> 원하시는걸로

호스트 -> 아까 복붙한 주소 








11. 사용자인증으로 들어가서 이름은 'ubuntu'

이름이 왜 우분투이냐? 예시 보시면 ubuntu@블라블라 보이시죠? 그게 접속이름입니다.. 사용자키는 인스턴스 생성시

다운로드했던 파일 넣어주세요 

 




12.그라믄 접속이 성공 





이렇게 AMI 간단 사용이 끝났습니다....

쉽죠??


출처:생활코딩


이상 따라하는 개발자 캔따개 였습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s3 콘솔에서 조작하기  (0) 2018.07.04
05 오토스케일링  (0) 2018.07.03
04 AWS (로드밸런서적용)  (0) 2018.07.03
03 서버 테스트와 탄력적IP  (0) 2018.07.03
01 AWS의 시작  (0) 2018.07.03


1.회원가입후 콘솔창에 들어가보면 이렇게 나와있을겁니다. 여기에 'EC2'라고 검색해주세요 




2. EC2에 들어가 인스턴스를 클릭해주세요



3.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주세요 



4. 다양한 OS들이 보일텐데 저는 생활코딩에서 나온대로 우분투를 설치하겠습니다. 


5. 그다음 컴퓨터 사양을 정하는 화면이 나올겁니다 저는 회원가입후 1년간 무료로 진행해주는 프리티어를 받았기때문에....

프리티어 지원은 t2 micro만 되네요 ㅎㅎ 


!!!!!!다음을 눌러주세요 





6. 인스턴스갯수는 1로 해줍니다 인스턴스란? 쉽게말해 컴퓨터의 대수를 의미합니다 가상컴퓨터 1대만 만든다는 얘기입니다.


다음!




7. 스토리지 추가는 손댈게 없습니다 (아 물론 저는 손댈게 없어요ㅋㅋㅋㅋ 다른분들은 필요하시겟죠?)


8. 보안그룹할당 여기는 보안그룹이라는걸 만들어서 셋팅을 해놓고 불러오는 곳입니다 예를 들면


web server라는 보안그룹은 ssh와 http를 사용한다고 구성햇을때 또다시 인스턴스를 만들고 정의 해주기엔 불편하겟죠?

그럴땐 기존에 만든 보안그룹을 통해서 설정해주시면 간편합니다.






9. 기존 비밀번호 파일이 있으시면 기존키를 선택 



10. 키생성입니다. 이 키는 비밀번호를 만들어주는겁니다. 기존 키가 없으면 하나 만들어주세요  



11. 인스턴스가 시작중이구요 



12. 초록색 불 running이 보이시나요? 잘 동작중인겁니다.



13. 주황색 pendoing 은 준비중이라는겁니다 기다려주시면 초록불로 바뀔거에요 



출처:생활코딩



이상 따라하는 개발자 캔따개였습니다.


생활코딩동영상이 더 편할지도...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6 s3 콘솔에서 조작하기  (0) 2018.07.04
05 오토스케일링  (0) 2018.07.03
04 AWS (로드밸런서적용)  (0) 2018.07.03
03 서버 테스트와 탄력적IP  (0) 2018.07.03
02 AMI 사용해보기  (0) 2018.07.03

+ Recent posts